2013.05.29 16:41
하버드대학교 Harvard University
1 of 3
· 쟌 하버드 목사를 추모하면서 지어진 이름
1620년 뉴잉글랜드지방의 플리머스 마을에는 신앙의 자유를 찾아 험난한 고생을 감당하면서 정착했던 청교도들과 그 이후 속속히 이곳 신천지를 찾아 이주해온 유입인구의 수가 늘어나고 있었다. 청교도인들이 플리머스 마을에 처음으로 정착했던 때로 부터 16년이 지난 1636년, 고등교육기관의 필요성을 절대적으로 느끼게 되었던, 초기의 청교도인들과 정착민들은 자신의 대표기관으로 선출하였던 “메사츄세츠연안 식민지 자치관할의원회 (Great and General Court of Massachusetts Bay Colony)”의 투표를 거쳐 대학설립을 구체화 시키게 되었다.
1635년 영국 켐브리지 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플리머스에 도착했던 찰스턴 출신의 쟌 하버드(John Harvard) 목사가 이곳에 정착한지 얼마되지 않은 1638년 세상을 떠나면서, 그의 장서와 재산의 절반을 신대륙에 처음으로 탄생하는 대학에 기증하게 됨에따라 이 대학은 그의 이름을 추모하는 의미에서 하버드칼리지(Harvard College)로 명명되게 되었고, 1643년 앤 레드클리크 (Ann Radcliffe) 여사로 부터 받은 후원금으로 최초의 장학기금이 설립되었다.
·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교
최초의 수업은 1638년 여름에 운동장이 딸린 목조가옥 한 채에서 시작하였다. 단 한 명의 교수였던 영국 찰스턴 에서 이주해온 나타나엘 이튼 (Nathaniel Eaton)과 9명의 학생들이 모여 시작된 하버드칼리지는 오늘날 미국 매사추세츠 케임브리지 시에 있는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대학으로 자리메김 하고 있다.
1643년에 발간된 하버드대학 안내서에는 “학문을 무궁하게 발전시켜, 이것을 자자손손에게 영원히 남겨주어, 우리의 후손들에게 물러줄 교회들에서 무식하고 무지한 목사가 사역하게 되는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시키는 사명을 감당하여야 한다.” 는글이 쓰여져 있다. 이러한 청교도 정신이 하버드대학의 버팀목이 되었고, 영국의 옥스퍼드대학과 케임브리지대학의 학사 과정을 그대로 받아 들여 신대륙에 최초로 설립되는 하버드대학이 일류로 발돋음하는 초석이 되었다.
초기 영국식민지 시대의 하버드대학은 교회들로부터 많은 후원을 받아 운영되었으며, 목회자 양성을 위한 신앙, 종교교육을 주된 목적으로 하였고, 전체 재학생 모두가 의무적으로 기숙사에서 생활하면서, 교회 예배와 기독교 과목들을 필수 커리큘럼으로 이수해야만 했다. 또한 초창기의 졸업생들은 뉴잉글랜드 전 지역에 걸쳐 목회자로 활동하였지만, 하버드대학은 설립 이후부터 어느 한 교단에 소속되지 않는 독립된 교육기관으로 존속해오고 있다.
· 설립 초기에는 신학교로 출발
설기 초기에는 단지 목회자를 교육하고 배출하는 신학교였던 하버드칼리지는 1708년에 잔 래버랫 (John Leverett) 목사가 초대총장으로 취임하면서 청교도의 이념과 신앙중심에서 탈피하게 된다. 그는 하버드가 최고의 지식인을 배양하는 교육기관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만들었고, 커리큘럼도 신학 교육 위주에서 탈피해 과학, 문학의 범주를 커버하면서 시대의 천재 문인들이었던, 핸리 워즈워즈 롱팰로 (Henry Wadsworth Longfellow), 제임스 러셀 로웰 (James Russell Lowell), 윌리암 제임스 (William James), 올리버 웬델 홈즈 (Oliver Wendell Holmes), 자연주의자로 알려진 루이스 아가씨즈 (Louis Agassiz), 제르투드 스테인 (Gertrude Stein)등과 같은 인물들을 배출하게 하였고, 이들이 다시 모교에서 인재를 양성하는 교수들로 활약하게 하면서, 하버드는 명실공히 당대의 대 학자들의 집결지가 되는 지성의 상아탑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 7명의 미국 대통령 배출
8개 아이비리그 대학들 중 에서도 가장 오래된 대학인 376년이라고 하는 최고의 역사를 자랑하며, 2대 대통령 존 아담스(John Adams), 6대 대통령 잔 퀸시 아담스 (John Quincy Adams), 19대 러더포드 헤이즈 (Rutherford B. Hayes), 26대 디어도어 루즈밸트 (Theodore Roosevelt), 32대 프랭클린 루즈벨트 (Franklin Roosevelt), 35대 쟌 F. 케네디 (John F. Kennedy), 43대 죠지 부시 (George W. Bush) 등과 같은7명의 대통령과 43명의 노벨 수상자를 배출해 낸 하버드가 오늘날의 명성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 전기를 마련한 것은 쟌 커클랜드 총장이라고 할 수 있다. 1807년 총장에 취임한 커클랜드는 기존의 고전적인 대학 교육 방식에서 탈피하는 개혁에 착수하여, 의과대학원을 확충하고, 법과 대학원과 신학대학원을 설립하면서 하버드대학의 전체 틀을 만들어냈다.
· 여자 대학인 래드 클리프 칼리지 설립
찰즈 W 엘리엇 총장의 재임기간동안인 1869년부터 1909년 기간동안에는 동부에 있는 작은 대학이었던 하버드칼리지가 세계 수준의 근대적인 대학으로 전환되는 계기가 되었다. 엘리엇 총장은 낡고 경직되고 고리타분한 교육과정 대신 선택 과목제를 도입함으로써 학부 학생들은 자신의 관심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하였다.
아직 자리를 잡지 못하던 법과대학, 의과대학이 드디어 소생하게 되었고, 경영대학, 치과대학 그리고 문리과대학들이 설립되었으며, 학생수도 1869년에는 3,000 명에 이르게 되었으며, 교수진들도 초기에는 49명에서 278명으로 대폭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대학소유 재산도 2백3십만 달러에서 2천2백5십만달러로 늘게 되었으며, 하버드대학내에 여자대학인 래드클리프 칼리지 (Radcliffe College)도 설립하여 세계적인 최고 수준의 교육을 여성들도 받는 일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처럼 최고수준의 여자 대학설립을 위해서 7인 준비의원회가 조직되었는데, 이중에는 역사학자로 유명했던 아더 길만(Arthur Gilman)교수의 부인 스텔라 길만 (Stella Gilman), 저명한 시인이자 교수였던 롱펠로의 딸, 엘리스 메리 (Alice Mary), 저명한 자연주의자이며 교수였던 루이스 아가씨즈 (Louis Agassiz)의 미망인 엘리자베스 캐리 아가씨즈(Elizabeth Cary Agassiz)등이 활약하였고, 드디어 1879년에는 하버드대학 내에 여자대학인 래드클리프 대학이 태동하였으며 초대 학장으로 엘리자베스 케리 아가씨즈가 취임하였다.
당시 여자대학으로는 뉴욕소재 바사칼리지(Vassar College), 메사츄세츠주의 스미스칼리지(Smith College), 그리고 웰슬리칼리지(Wellesley College) 뿐으로 이들 대학들은 남자대학들과 전혀 연계되어 있지 않는 순수 여자대학 이었던 것에 비해 래트클리프는 남자들만의 대학인 하버드의 교수진들이 강의하였기 때문에 하버드와는 밀접한 성격을 유지하였다.